안녕하세요. 순자80입니다.
최근 아파트 시세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싸이클로 보면 현재가 가장 호황기라고 보여집니다.
지금과 같은 상승장 분위기의 원인은 부동산 사이클 이론이 있겠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정책이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최초 분양가 상한제 정책은 재건축의 조합원들이 분양가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세워놓은 대책이었습니다.
보통의 재건축들은 도심의 오래된 주택들에 해당이 되어, 지가가 높고 인프라가 아주 잘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정의 외부효과가 발생되고, 여기에 용적률 MAX로 층수를 올리고 난 후 높은 분양가를 설정해버리면 조합원들에게는 엄청난 이득이 되겠지요.
그렇게 때문에 정부에서는 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해 온 것이었는데, 여기에는 맹점이 있습니다.
신규 분양하는 대부분의 아파트들에도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이 되어, 이미 오른 주변 아파트 시세에 못 미치는 수준에서 분양이 시행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서울권역 및 수도권 신도시 또는 역세권 등 아파트 시세가 높은 특수지역에는 분양가와 주변 시세의 신규 분양 아파트의 가격 차이가 심하여 청약만 당첨이 돼도 시세차익을 이룰 수 있는 구조이죠.
그래서 어느 정도의 종잣돈 혹은 자금여력이 되시는 분들은 청약이라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축 아파트로의 진입이 가능한 겁니다.
더욱이 10년 전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인하여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서 하우스 푸어라는 말이 생기는 시점이었던 2012년도에는 아파트를 사면 망한다라는 공포감이 조성되었었고, 그 당시부터 정부에서는 부동산 부양책을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을 분양가에 70% 정도까지 무리 없이 해주었었죠.(지금은 LTV DTI 등등 규제가 많아졌어요)
정부의 부동산 부양책이 시작되면서 주택 매수세가 커지고 2012년 정도부터 슬금슬금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해 2015년부터는 본격적인 상승곡선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미 부동산 사이클과, 인플레이션을 경험한 사람들은 집값은 결국 오른다라는 생각과 함께 이미 부동산에 투자를 하고 있었고, 이런 시스템을 이해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부동산 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이제는 아파트가 하나 분양한다고 하면 소위 인기 있는 지역의 경쟁률은 몇십대일 몇백대일은 기본이 되어버렸죠.
이렇게 청약 로또라고 불릴 만큼 청약통장을 잘 사용함으로써 주택을 매입하고, 매도하면 시세차익으로 부를 축적하는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진행하시면 재테크의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같은 상승장의 분위기가 언제 어떻게 꺾일지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최근 쏟아지는 정부 규제들로 인하여 지금과 같은 부동산 호황기는 그리 길지 않을 거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무분별한 투자보다는 절세가 가능한 수준에서 정부 규제에 적절한 Plan으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 내 청약 점수 확인하기(↓↓)
https://90000won.tistory.com/22
[부동산 쉽게 이해하기] 청약통장 내 점수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최Pro입니다. 내 집 마련. 내 집 마련. 남 눈치 보지 않고 평생 안락하게 살 내집 한 채는 필수죠. 전세로 매번 이사 다니는 것도 한계가 있고, 월세로 사는 것은 금액적으로 부담이 되�
90000won.tistory.com
'재테크 한 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이슈]3기 신도시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0.08.07 |
---|---|
[부동산 쉽게 이해하기] 청약통장 내 점수 확인하기 (0) | 2020.08.06 |
[부동산 이슈] 서울권역 등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방안 (2020.08.04) (0) | 2020.08.04 |
[부동산 이슈] 주택임대차보호법 보도설명자료(2020.08.02) (0) | 2020.08.03 |
[부동산 이슈] 710 부동산대책 관련 (지방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0) | 2020.07.30 |